《오감으로 읽는 중국문학의 세계》는 중국 문학 작품 창작에 기본적으로 동원되는 오감(五感)이 어떻게 작품에 반영되어 묘사되었는지를 다각적으로 천착(穿鑿)하여, 독자의 감상 폭을 넓히려는 뜻으로 쓰인 저술이다. 《주역》〈계사 상〉 “형상을 본떠 나타내면 뜻이 다한다(立象盡意)”에서 나온 의상(意象)의 상(象)은 오감인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통해 구현되…
이 책은 도시 공간에 대한 인류학적 관심에서 시작한 연구지만, 도시연구, 문화지리학과도 그 관심과 쟁점에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책의 마지막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를 순환시키는 권력을 감금, 탈주, 전유, 배제의 순서로 제안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론화는 이 책의 후속 연구로 남겨 둔다. 아울러, 현지연구를 하던 시기에는 생각해 본 적이 없지만, 이 글을 작…
시간의 흐름 속에 베이징은 옛 모습을 잃고 예전과는 전혀 다른 도시가 되어버렸다. 웅장했던 성벽은 허물어져 자취를 찾을 길 없고, 도성의 성문들도 단 두 개만 남겨둔 채 모두 철거되었다. 중국인들이 세계 최대의 광장이라고 자랑하는 톈안먼天安門 광장은 예전에는 육조六曹의 관아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던 곳이었고, 마오쩌둥毛澤東의 시신이 안치되어 있는 마오쩌둥기념…
『계간 삼천리』는 재일한국․조선인 스스로 편집위원으로 참가하여 그들의 문제를 다룬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재일조선인 역사학자 이진희와 박경식, 강재언, 소설가 김달수, 김석범, 이철, 윤학준이 편집위원으로 참여하였으며, 1975년 2월에 창간하여 12년간 1987년 5월 종간까지 총 50권이 발행된 잡지이다. 물론 재일조선인 편집인과 필진 이외에도 일본인 역사가와 활동가, 문…
민요는 민중들의 사상, 생활, 감정을 담고 있으며 노동이나 생산 활동과 연관된 생산적 노래이다. 제주민요에는 농사짓기 소리, 고기잡이 소리, 일할 때 부르는 소리, 의식에서 부르는 소리, 부녀요, 동요, 잡요 등이 있다. 특히 노동요와 부녀요가 압도적으로 많다. 지금까지 제주민요연구는 주로 국문학, 민속학, 인류학, 음악학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한국의 중국어어법 연구는 기타 전공에 비해 오래되지 않았으나 현재 중국언어학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자가 연구에 매진하는 영역이 되었다. 고려대학교 중국어어법연구팀은 이러한 거대한 조류 속에서 각종의 어법 이론을 섭렵하여 한국에 맞는 중국어어법 연구를 하기 위해 지금껏 노력해오고 있다.본 연구팀은 단순히 중국 본토의 이론을 답습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능…
2019년 12월 10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동남아시아축구대회에서 60년 만에 베트남이 우승을 차지했을 때의 일이다. 경기를 마친 후 베트남축구대표팀은 박항서 감독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태극기를, 박 감독은 베트남의 국기인 금성홍기를, 그리고 한 선수는 호찌민의 초상을 치켜올렸다. 호찌민은 베트남전쟁이 한창이던 1969년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사후 50년이 지난 후에도 …
서예는 문자를 매개체로 삼아 모필로 작가의 성정ㆍ주관ㆍ정취ㆍ수양ㆍ학문 등을 표현하는 특수 예술이다. 서예의 기본 구성은 용필과 결구이고, 개성ㆍ지역ㆍ시대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한자漢字는 발생에서 변천 과정까지는 자체字體와 서체書體라는 용어를 같이 사용하였는데, 문자학에서는 주로 자체를 사용하고 서학에서는 서체를 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서예에서…
이 책은 동아시아 도시에 관한 여러 학자의 인문학적 성찰을 담은 것이다. 도시와 도시의 삶에 관한 다양한 질문을 “도시의 확장과 변형”이란 말 속에 다 담을 수는 없겠지만, 이 책에 담긴 관찰과 시각을 통해 그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 책의 의미와 여러 연구의 성과는 서문에 이미 자세하므로, 책을 갈무리하는 이곳에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도시인문…
이 책은 동아시아 도시에 관한 여러 학자의 인문학적 성찰을 담은 것이다. 도시와 도시의 삶에 관한 다양한 질문을 “도시의 확장과 변형”이란 말 속에 다 담을 수는 없겠지만, 이 책에 담긴 관찰과 시각을 통해 그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 책의 의미와 여러 연구의 성과는 서문에 이미 자세하므로, 책을 갈무리하는 이곳에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 도시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