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나타내는 네 가지 字形이 있다. 比, 從, 北, 化이다. 이 글자들은 人間의 直立을 나타낸다. 서양철학이 논리를 중시한다면 동양철학은 표현을 중시한다. 서양철학은 분석에 능통하며 동양은 이해에 능통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漢字를 살펴보면 사람 인식의 出發點은 두 사람간의 比較이다.
중국에 관심을 갖고 있는 기업이나 연구자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설명하려고 노력을 하였으며, 실무에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추후 이를 통하여 구체적인 세목별실무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중국조세 연구자 뿐 아니라 투자기업의 관계자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문장 유형 중심의 체제에서 탈피하여 명구명언, 단문, 장문, 시, 부록의 순서로 구성하였다. 이 책을 통하여 한자ㆍ한문으로 표현된 동양고전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그 이해를 통하여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 그리고 삶의 지혜를 살려 오늘날 우리들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란다.
한문을 공부한다는 것이 옛 사람들의 글을 통해 낡은 사고방식에 빠져들고 고루한 과거를 고집하자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溫故而知新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현재에서 과거를 돌아보고, 앞날을 준비하는 자세로 선인들의 문화를 접하는 자세가 중요할 것이다. 한문과 한자에 대한 이해는 앞으로 동북아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로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학문일 것이다.
인터넷 시사중국어 교재는 입력, 활용, 독해 PART로 구성되어 있다. PART별로 공부해가다 보면 아래의 두 가지 학습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업무에 있어서의 중문 문서작성과 인터넷을 통한 자료수집, 중국 바이어 발굴 및 업무교류에 있어 필요한 자료 수집을 인터넷을 통하여 습득하는 과정을 통하여 실질적 업무지식과 향후 업무에 있어서의 자신감을 제공할 수 있…
이 책은 문화인류학, 신문방송학, 경제학, 정치학 분야의 사회과학자들과 문학, 역사학, 철학 분야의 인문학자들이 중국의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그것이 실제 중국사회에서 어느 정도로 존재하고 있는지, 한류를 가능케 한 중국사회의 내적 조건은 어떤 것인지, 그리고 한국과 중국간의 바람직한 문화교류의 대안은 무엇인지를 함께 고민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는데,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