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저자:저자 최석정(崔錫鼎), 역자 정병섭(鄭秉燮), 가격:0원
이 책은 조선 후기 유학자인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이 편찬한 서적으로, 권근(權近)을 필두로 시작된 조선 예학사(禮學史)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예기유편(禮記類編)>은 본래 <예기>의 경문(經文)만 수록하고 간단한 음주(音註) 등을 덧붙인 책이었다. 이후 진호(陳澔)의 <집설(集說)>과 최석정의 부주(附註)가 덧붙여져 <예기유편대전(禮記類編大全)>…

저자:저자 최석정(崔錫鼎), 역자 정병섭(鄭秉燮), 가격:34,000원
이 책은 조선 후기 유학자인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이 편찬한 서적으로, 권근(權近)을 필두로 시작된 조선 예학사(禮學史)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예기유편(禮記類編)>은 본래 <예기>의 경문(經文)만 수록하고 간단한 음주(音註) 등을 덧붙인 책이었다. 이후 진호(陳澔)의 <집설(集說)>과 최석정의 부주(附註)가 덧붙여져 <예기유편대전(禮記類編大全)>…

저자:김형석 지음, 가격:17,000원
전통종교로서 도교와 불교가 가진 의미는 두 가지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것 들이 매우 오랜 시간동안 우리의 세계관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쳐왔다는 역사성의 차원과 특히 시대적으로 구한말에서 일제시기에 이르는 근대전환기에 기층 민중 들의 삶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는 계급성의 차원에서이다. 도교와 불교는 늦어도 삼국시대 이래 일제 강점기에 이르기까…

저자:서명응(徐命膺) 지음, 김학목 옮김, 가격:20,000원
조선조 유학자들의 『도덕경道德經』 주석을 번역하면서 매번 느끼는 점은 그 내용을 해독하기가 무척 어렵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흔히 왕필王弼의 『노자주老子注』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평가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유학의 시각을 덧붙이지 않고 노자의 논리적 사유를 철저히 적용해 차분해 읽어보면 저절로 해석되는 것이 왕필의 주석이다. 그런데 조선 유학…

저자:서명응(徐命膺) 지음, 김학목 옮김, 가격:25,000원
흔히 노자와 장자를 노장으로 함께 부르는데, 그 이유는 노자나 장자 모두 마음 비움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노자는 분별력 곧 지적능력을 인위의 출발로 부정하면서 소박함을 강조했고, 장자는 분별력을 사람의 자연스러운 속성으로 일단 인정하지만, 그것을 가지고는 시비를 벗어날 수 없으니 그것을 넘어설 것을 다시 역설한다. 「소요유(逍遙遊)」에서 붕의 비상에 대…

저자:이종란 지음, 가격:20,000원
본서는 우리 근대전환기에 접한 서양 문명을 ‘기의 철학’이 수용·대응·변용하는 주체적 태도를 통해 전통사상의 발전적 계승, 창의적인 특성화와 극복 등의 방법을 보여준다고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서양의 종교·철학(신학)·과학 등에 대해 반응한 ‘기의 철학’이 갖는 특징은 제각기 기철학에서, 기를 매개로 한 종교적 신관에서, 기와 물질 개념의 접근 등에서 드러난…

저자:이철승, 가격:20,000원
우리나라에서 ‘철학’ 용어의 출현은 서구 문명을 동경했던 일본 학자들에 의해서다. 그들은 유儒‧불佛‧도道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철학을 지양하고, 서양철학을 지향하였다. 그 철학이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수용된 이래 100여 년 동안 한국의 제도권 철학계는 서양철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최근에 일군의 학자들에 의해 ‘동양’, ‘서양’, ‘전통’, ‘현대’, ‘탈현…

저자:위행복․이종관․박종보․장은주․한지희․김종규․이승희, 가격:16,000원
인공지능의 빈곤과 인간지성: 역사의 발전을 위해 인문학은 필요하다인문적 소프트파워 강화 전략을 세워야 한국의 인문자산으로 ‘한류’의 뿌리를 형성해야 한다.이 책에서는 인문학의 시대적 소명을 개진한다. 인문학이 기술발전이 초래할 변화에서 눈을 떼지 말고 끊임없이 새로운 종류와 차원의 물음들을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인간의 존엄과 삶의 질 향상에 …

저자:반성택․김종규, 가격:12,000원
2020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4차 산업혁명 담론은 지난 2016년을 지나며 전 세계에 걸쳐서 나타났으며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보다 폭발적으로 분출하여 왔다. 이 담론이 미치지 않는 영역은 사실상 없었다. 산업 혁신에 대한 요구, 이어서 혁신된다는 산업계 동향에 발을 맞추지 못한다고 비판받는 교육계의 혁신까지 말이다. 심지어는 이 나라의 대통령 선거에까지 4차 산…

저자:왕정상(王廷相) 지음, 권오향 옮김, 가격:25,000원
명대 왕정상은 민생을 위해 개혁을 감행하여 실천 정치를 펼치며 실학사상을 정립하였다. 실학은 공자 유학의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주자학의 내성과 외왕 사유가 공리공담 부분과 현실과 맞지 않는 예(禮)를 강조하는 부분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내성(內聖)은 실체(實體)로 외왕(外王)은 달용(達用)으로 전환하였다. 실학은 학문적 이론을 중시…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