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에서 말하는 철학(哲學: philosophy)의 원래 뜻은 ‘애지(愛智)’, 즉 지혜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지혜란 무엇인가? 지혜는 진리에 대한 인식이다. 서양철학은 지혜를 추구하므로 서양철학이 얻은 성과는 ‘서양의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중국 고대 철학자는 ‘문도(聞道)’ 즉 도(道)를 듣는 것에 뜻을 두었다. ‘도’는 진리이며, 최고의 지혜이기도 하다. 이런 의미에서 중국 …
조선 말기 성리학계의 최대 논쟁거리는 심⋅성⋅정(心性情) 문제를 종합하는 ‘심설논쟁(心說論爭)’과 ‘척사위정(斥邪衛正)’의 문제였다. 후자는 서세동점(西勢東漸)에 맞서기 위한 당면 현안이었다. 위 두 문제를 놓고 화서학파⋅노사학파⋅한주학파⋅간재학파, 이른바 사대학파(四大學派)가 열띤 논쟁을 벌였다. 이들 네 학파 가운데 간재학파는 성리학의 심설문제와 척…
19세기 말, 기호․호남․영남 세 지역을 기반으로 성리학의 사대 학파(四大學派)가 형성되었다. 호남 지역에서 노사학파(蘆沙學派)에 이어 간재학파(艮齋學派)가 나와 모두 넷이 되었다. 학파의 대표가 활동한 시기로 보면 화서학파(華西學派)가 빠르고 간재학파가 가장 늦다. 학문 계통으로 보면, 화서․노사․간재 세 학파가 율곡학파의 우산 속에 들어가는 한편, 한주학파(寒…
중국 서원에 대한 통사로, 서원의 기원과 초기 형태, 서원의 교육기능 강화, 서원 제도의 확립, 서원의 보급과 관학화, 서원의 번영과 발전, 서원의 보급과 변천 등을 주제로 하여, 당대 초부터 청대 말까지 1,200여 년 동안 이어져 온 중국 서원의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서원을 포괄적인 의미로 정의하면서 서원의 역사를 당대까지 소급했다. 그 …
주례(周禮)는 현존하는 십삼경(十三經) 중 중요한 저작물 중의 하나로, 다학제적(多學制的)인 역사적 가치를 가진 고대 서적이다. 전서는 4만 5천여 문자로 이루어진 설관분직(設官分職)을 중심 구조로 삼고, 6대 직관(職官) 및 그 속관(屬官)의 360여 개 관직 기능을 기술함으로써 중국 고대의 정치 · 경제 · 군사 · 법률 · 문화 · 교육제도를 종합적으로 집약하고 있다. 그리…
<사상견례>는 동양의 예학서 중 가장 오래된 문헌인 <의례>에 속한 3번째 편이다. <<의례>>는 각종 의례절차의 원형을 기록한 문헌이다. 동양사회에서 시행되었던 각종 의전과 의례 절차는 이 기록을 바탕으로 제정된 것이다. ‘사상견례(士相見禮)’라는 편명은 사(士)계층이 서로 만나보는[相見] 예법[禮]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인데, 내용 중반부에…
본 책은 중국 미학 70년의 전체 발전 과정을 충실히 재현하는 한편 이전에는 항상 나누어 설명했던 “전 30년”(1949-1978)과 “후 40년”(1979-오늘날)의 미학사를 융합, 관통시켰을 뿐만 아니라 70여 년 간 중국 미학 발전의 역사적 경험과 교훈을 객관적으로 진술하고 분석함으로써 중국 미학의 미래 발전을 위하여 견실한 학술사의 토대를 다지려고 시도하였다.이 견실하고 묵직한 …
자기정체의 확인, 곧 자아(自我)가 온전히 실현되는 것으로, 바람직한 인간상의 정립에는 우주의 생성과 인간의 본성을 발견하려는 철학적 사색의 시각을 간과할 수가 없다고 본다.필자의 저술은 그 요해(了解)에 있어서 다소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바로 우주와 인간을 매개하는 철학의 가교(架橋)를 구축하는 것으로 보면 좋을 것이다. 가교를 연결하는 지혜의 탐구로서 심야(…
현대사회가 급격하게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눈앞의 성공과 이익만을 추구한다. 모든 일이 속성으로 이뤄지길 바라는 사람도 있고, 적은 대가로 많은 것을 얻고자 하는 사람도 있다. 대인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대에 대한 요구만 커지고 진심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사람들 사이의 소통과 관심만 줄어든 것은 아니다. 가족애나 우정 같은 과거의 가치…
관례(冠禮), 혼례(昏禮), 상례(喪禮), 제례(祭禮)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통과의례로 여겨져, 동양사회 예문화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관례가 개인의 인격 성숙에 초점을 맞춰, 성인(成人)의 역활과 책무의식을 부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혼례는 개인의 인격 완성을 넘어서 남과 여, 부모와 자식 등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지켜야 할 덕목과 책임의식 부여에 초점을 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