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후반은 국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국가와 민족, 조국의 저어齟齬를 인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상황은 역설적으로 국민국가를 형성한 이러한 세계적 인식들이 과연 국민의 해방을 가져올 수 있는 개념들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서구적 근대 이데올로기에 의해 형성된 ‘인권, 다문화, 공생, 민족, 국민, 자유, 평등’이 역설적으로 주체…
<엄씨효문청행록>은 30권 30책으로 된 대장편소설로, 100권 100책의 <명주보월빙>과 105권 105책의 <윤하정삼문취록>과 함께 《명주보월빙 연작》을 구성하고 있으면서, 연작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예술적 총체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 연작은 그 3부작을 합하면 원문 글자 수가 도합 334만4천여 자(<보월빙>1,485,000, <삼문취록>1,455,000, <청행록>404,000)에 이를 …
<엄씨효문청행록>은 30권 30책으로 된 대장편소설로, 100권 100책의 <명주보월빙>과 105권 105책의 <윤하정삼문취록>과 함께 《명주보월빙 연작》을 구성하고 있으면서, 연작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예술적 총체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 연작은 그 3부작을 합하면 원문 글자 수가 도합 334만4천여 자(<보월빙>1,485,000, <삼문취록>1,455,000, <청행록>404,000)에 이를 …
<여저중국통사呂著中國通史>는 1940년 상하이 개명서점開明書店에서 상책 초판이 나왔으며 하책은 1944년에 출간되었다. 당시 저자가 책을 저술한 목적은 대학 교재용 외에도 독자들이 역사에서 얻은 교훈으로 향후 행동의 지침을 삼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본서를 읽은 이들이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문화 현상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하여 그런 현상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많다. 세상사 자체가 복잡하므로 굳이 알 것까지 있겠느냐는 사람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각자 삶의 양식에 다른 특성이 있는 것을 뭐라 말할 수는 없다. 자신의 눈에 비추어진 양식 곧 ‘패러다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을 말하는데, 세상을 볼 때 시각적인 감각에서가 아니라,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에서 이 세상을…
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악부시집樂府詩集≫은 고대 중국 민가의 총집으로 후대 오칠언 고시와 근체시 및 사詞의 바탕이 되었으며 여기에는 총 5,300여 수에 달하는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번에 출간하는 ≪악부시집樂府詩集·청상곡사淸商曲辭≫는 그 일부분으로서 주로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의 민가들이 수록되어 있다. <청상곡사淸商曲辭>…
《황제가 사랑스럽지 않다면 나라는 어찌할꼬》는 바로 명말 청초 황제와 신하들이 보인 행태를 통해 역사의 준엄한 가르침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본서는 총 43편의 독립적인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명말 청초라는 대전환 시기에 명나라가 멸망할 수 없었던 이유를 명쾌하게 조명했다. 여기에 일반 독자들의 눈높이에서 알기 쉽게 기술하여 ‘재미’와 ‘교훈’이라는 두 마…
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중화문명은 유구한 문명으로서 일찍 두터운 축적이 있었다. 춘추 시기에 이르러, 공자는 인간세상의 질서를 바로잡으려는 취지에서, 중화의 유구한 덕德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인애仁愛를 중심으로 하는 유가사상을 정립했고, 노자는 우주와 인생의 철리를 밝히려는 취지에서, 중화문명의 심층적 함의를 발굴하고 개척하여 자연…
202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중화문명은 유구한 문명으로서 일찍 두터운 축적이 있었다. 춘추 시기에 이르러, 공자는 인간세상의 질서를 바로잡으려는 취지에서, 중화의 유구한 덕德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인애仁愛를 중심으로 하는 유가사상을 정립했고, 노자는 우주와 인생의 철리를 밝히려는 취지에서, 중화문명의 심층적 함의를 발굴하고 개척하여 자연…
이 책은 ‘2021학년도 인천대학교 중어중국학과 학과특성화사업’으로 진행한 ‘한중 대학생들이 찾아낸 인천의 미래 가치’에 대한 세미다큐멘터리 기록으로, 한중 양국의 대학생들이 한 팀을 이루어 ‘인천의 미래 가치’에 대해서 숙고하여 조사하고, 동영상 콘텐츠를 기획, 설계, 제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중국 대륙에서 유튜브의 영향력을 가지는 bilibili, xigua shipin(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