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석孔炳奭
경남 창원에서 태어나 자랐다.
대구한의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과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를 거쳐 대만(臺灣)사립 동오대학(東吳大學)중문연구소에서 중문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립 대만사범대학(臺灣師範大學)국문(중문)연구소에서달생(達生)공덕성(孔德成)선생의 지도하에 중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타블라 라사 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성균관 의례 정립위원회 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경학(經學)과 삼례학(三禮學)이며 저서로는 공자예학 연구, 예기와 묵자 상장사상 비교연구, 예기 상례의 인문관, 예학강의 ― 공자편 등이며, 「예기상장관의 인문의식」,「묵자의 상장관」,「상례의 이론적 의의와 그 기능 ― 예기를 중심으로」,「예기를 통해 본 중국고대 교육제도와 교학이론」등 예학(禮學)관련 논문 다수를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