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활용도는 몇 가지로 나뉜다. 우선, 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에게는 제1부(“교육과정”)가 유용하다. 그 안에서 교육과정의 개념, 이론, 역사, 유형, 모형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교육학과 학생들과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는 제2부(“쿠레레”)가 쓸모 있다. ‘교육과정(curriculum)’을 ‘교육과정학(curriculumlogy)’으로 유예하고 대체하면서 ‘커리큘럼(curriculum)’을 ‘쿠레레(currere)’로 재개념화하는 논의는 교육과정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선사할 수 있다. 한편, 제3부(“에세”)는 교육과정 학자들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들로서 앞의 두 부류의 학생 집단 모두에게 일독을 권할만하다. 우리는 어떤 ‘이론’을 잘 안다고 말하면서도, 정작 그 이론을 주창한 ‘사람’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교육과정 학자들의 삶에 관한 연구는 그들의 이론이 어떤 역사·철학적인 맥락에서 탄생했는지 말해준다. | |
序 5
I 교육과정 01. 교육과정의 개념 13 어원적 의미 15 교육과정의 개념 18 02. 교육과정학의 역사 27 전통주의 29 개념적-경험주의 55 재개념주의 70 03.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83 교육과정학의 도입 85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 95 04. 교육과정의 유형 117 실천적 구분 119 이론적 구분 136 05. 교육과정의 모형 147 하버마스의 인식론 149 교육과정 개발 모형 155 교육과정 탐구 모형 161 교육과정 평가 모형 169 II 쿠레레 01. 재개념화 운동이란? 179 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181 재개념화의 초기단계 186 재개념화 운동의 발흥 194 재개념주의를 비판하며 198 재개념화를 위한 변론 203 02. 쿠레레 205 “쿠레레”와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207 “쿠레레” 방법론 210 03. 탈비판적인 재개념화 217 교육과정, 주관적인 의식의 세계 219 교육과정 언어와 교실 속 의미 222 교육과정의 실행을 다시 생각함 229 복잡한 대화로의 회귀 234
04. 정치적인 재개념화 237 교육과정의 정치학 239 교과서와 문화정치학 247 교육과정과 수업의 통제 255 05. 세계화와 교육과정 연구 259 세계화, 교육, 교육과정 261 교육의 상업화 268 06. 교육과정과 교사 275 교사가 교육과정을 만났을 때 277 창의적인 해석자로서의 교사 281 교육과정의 “즉흥연주” 285 교사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라 288 07. 교육과정 분야의 미래 291 교육과정 연구의 현주소 293 학교교육의 새로운 방향 298 III 에세 01. 나의 이야기 305 프롤로그 307 고전의 향기 310 선구자들 319 재개념화 332 앨버타의 추억 345 02. 타인의 이야기 355 가르침은 세대를 넘어 357 사회적 책무성에 대하여 372 열정이란 무엇인가? 381 전문가의 품격과 기개 401 참고문헌 411 찾아보기 421 | |
김성훈金成勳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났다.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University of Alberta에서 교육과정 연구(Curriculum Studies) 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2007년부터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육과정, 교육사상, 교육고전 등에 관심이 있다. E-mail: seonghoonkim@kangwon.ac.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