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Chapter 1 우리 땅, 우리 민족, 우리 문학 해외 한인문학의 존재와 당위 24 Ⅰ. 시작하는 말 24 Ⅱ. 해외 한인문학과 탈식민, 그리고 언어의 문제 26 Ⅲ. ‘한민족문학’ 범주 설정의 필요성 40 Ⅳ. 맺음말 49 Chapter 2 잃어버렸거나 잊어버린 자아를 찾아 재미 한인문학과 두 모습의 자아 54 Ⅰ. 시작하는 말 54 Ⅱ. 재미한인들의 특성과 문학 56 Ⅲ. 개인적 자아와 보편정서 62 1. 탈조국의 꿈, 그 좌절의 초상: The Grass Roof와 East Goes West의 Chungpa Han 62 2.구세계 복귀의 꿈, 그 방황하는 경계인의 초상: Clay Walls의 Hye Soo와 A Ricepaper Airplane의 Sung Wha 67 Ⅳ. 맺음말 71 욕망과 좌절의 끝없는 반복, 그리고 작가들의 자아 찾기 74 Ⅰ. 시작하는 말 74 Ⅱ. 아메리칸 드림과 탈향, 그리고 문화사절 의식 77 1. 붕괴된 구세계, 그 대안으로서의 아메리칸 드림 77 2. 소외와 열등감, 그 보상 메커니즘으로서의 문화 소개 82 Ⅲ. 귀향의 욕망과 좌절, 빛바랜 아메리칸 드림 92 Ⅳ. 맺음말 99 바벨탑에서 자아 찾기 103 Ⅰ. 네이티브 스피커와 바벨탑 103 Ⅱ. 바벨탑과 소외된 자아 109 Ⅲ. 언어 콤플렉스와 진실, 그리고 자아 정체성 117 Ⅳ. 맺음말 124 Chapter 3 작가들의 다양한 모험과 길 찾기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한글노래와 디아스포라 128 Ⅰ. 시작하는 말 128 Ⅱ. 재在카자흐스탄 고려인과 노래문화 131 Ⅲ. 디아스포라의 경험과 문학적 형상화 136 1. 디아스포라 의식의 보편성 137 2. 디아스포라 의식의 구체적 방향성 141 3. 개인사와 관련된 디아스포라 의식 145 Ⅳ. 맺음말 152 고려극장에서 불린 우리말 노래들 154 Ⅰ. 시작하는 말 154 Ⅱ. 가창된 노래들의 텍스트 양상 및 갈래 158 Ⅲ. 주제의식의 양상 183 1. 트라우마로 고착된 디아스포라의 실향 의식 187 2. 실향 트라우마의 이념적 승화를 통한 방어기제 193 Ⅳ. 맺음말 200 고려인 극작가 한진이 수용한 우리 고전 203 Ⅰ. 시작하는 말 203 Ⅱ. 새로운 인물형의 창조를 통한 봉건체제 비판: 「량반전」 206 Ⅲ. 봉건 착취에 대한 비판과 디아스포라의 정서: 「토끼의 모험」 219 Ⅳ. 두 작품의 공시적․통시적 위상 227 Ⅴ. 맺음말 233 고려인 극작가 연성용이 수용한 우리 고전 236 Ⅰ. 시작하는 말 236 Ⅱ. 예술적 성과에 관한 평가 239 Ⅲ. 고전의 발견과 재해석 양상 246 1. 고전소설의 부분적 수용과 이념의 투사: 「창곡이와 홍란」 248 2. 설화의 재해석과 이념의 투사: 「지옥의 종소리」 258 Ⅳ. 맺음말 267 구소련 고려시인 강태수의 작품세계 271 Ⅰ. 시작하는 말 271 Ⅱ. 강태수 문학의 정신적 근원 274 Ⅲ. 작품세계 279 1. 뒤틀린 삶과 굴절된 서정성 281 2. 생존원리로서의 현실적응과 이념지향 289 3. 회한과 깨달음, 그리고 서정성에로의 회귀 295 Ⅳ. 맺음말 302 고려인 극작가 태장춘이 재현한 홍범도의 영웅서사와 연극미학 305 Ⅰ. 시작하는 말 305 Ⅱ. 작품에 대한 당대의 인식과 평가 308 Ⅲ. 텍스트의 성립과 내용적 짜임 317 Ⅳ. 작가의식 및 주제 330 Ⅴ. 맺음말 338 Chapter 4 수용 혹은 변용을 통한 ‘조국’의 문학과 문학사 홍길동 서사를 서구적으로 변용시킨 희곡 Lotus Bud 344 Ⅰ. 서론 344 Ⅱ. Lotus Bud와 원 ‘홍길동 서사’의 같고 다른 점 349 1. 사건의 개요 350 2. 사건의 성격 356 Ⅲ. 결론 367 시조 창작을 통한 정서적 유산의 확인․유지: 심연수의 시조 371 Ⅰ. 시작하는 말 371 Ⅱ. 시조창작의 계기 및 작품 현황 373 Ⅲ. 작품의 짜임과 주제의식 388 Ⅳ. 맺음말 399 작품 해석의 통시적 체계화를 통해 ‘조선 문학’에 보편성 부여하기: 계봉우의 <조선문학사> 402 Ⅰ. 시작하는 말 402 Ⅱ. 괄론括論의 내용과 의미 404 Ⅲ. 시대구분과 작품의 논리적 정합성 409 1. 계봉우와 안자산․조윤제, 그 시대구분의 같고 다른 점 409 2. 계봉우의 시대구분과 작품에 대한 해석적 의미의 정합성 414 Ⅳ. 계봉우의 문학사관 427 Ⅴ. 맺음말 434 참고문헌 437 찾아보기 4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