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닮은 안드로이드 로봇의 개발 과정을 다루고 있다.
로봇과 같은 기계, 혹은 세포 조작이나 외과수술을 통해 물질 및 기계와 육체를 결합한 존재들은 트랜스휴먼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주된 관심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에서는 주로 동물의 권리, 생명과 생태에 대한 관점의 확장 쪽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구도에서 기계이자, 인조인간이며, 인간과 구별이 쉽지 않을 정도로 인간을 닮고자 하는 안드로이드 로봇에 관한 연구는 트랜스휴먼적 포스트휴먼 연구로 여겨지기 쉽상이다. 즉, 인간을 위해 인간의 욕망을 위해, 인간중심주의의 연장으로 인간 자신을 뛰어넘는 초인간의 생산을 추구함으로써 근대적 인간중심주의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않은 존재로서 안드로이드 로봇이 빠르고 쉽게 이해되어 ‘버릴’ 수 있다.
일본에서의 안드로이드 로봇의 존재양식을 연구하려면, 인간중심주의냐 아니냐 하는 양분적인 명제 이전에 이미 일본사회 전반에, 심지어는 과학의 현장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던 애니미즘적 실천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안드로이드 로봇이라고 하는 비인간 기계가 기존의 포스트휴먼 논의가 벗어나지 못한 초인간/탈인간의 이분법과는 다른 애니미즘이라고 하는 맥락에서 일본사회의 구성원이 되고자 하는 기계 인간의 전개 과정을 다루는 것이다. 인간인가 아닌가, 아니면 인간을 ‘초월’했는가, 인간의 ‘꼭두각시’인가라고 하는 근대적 이원론의 사고와 별도로, 그와 나란히 전개되고 있는 일본에서의 애니미즘적 포스트휴먼에 관해서 이 책이 논의를 심화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