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가믄장아기〉에 구현된 여성인물의 형상과 특질 1. 머리말 13 2. 〈가믄장아기〉의 특질과 의미 16 3. 〈가믄장아기〉에 형상화된 여성인물의 양상 19 4. 〈가문장 아기〉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특성 26 5. 맺음말 30
제2장 「허황옥 설화」의 의미 양상과 인물의 특질 1. 머리말 35 2. 「허황옥 설화」의 특질과 의미 38 3. 「허황옥 설화」에 형상화된 여성 인물의 양상 43 4. 「허황옥 설화」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특성 50 5. 맺음말 53
제3장 여성 악인惡人의 형상화와 특질−뺑덕어미 인물형을 중심으로 1. 머리말 57 2. 뺑덕어미의 수용 양상 61 3. 뺑덕어미 인물형의 형상화 68 4. 맺음말 82
제4장 여성 인물의 현실인식과 의미 양상−금원錦園의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1. 머리말 87 2. 금원의 생애와 특질 90 3. 금원 문학 작품의 양상 94 4. 금원 문학 작품에 나타난 현실 인식 107 5. 맺음말 111
제5장 한국 인어 서사의 형성과 현대적 변용 1. 머리말 115 2. 인어 서사의 형성과 전승 117 3. 인어 서사의 현대적 변용 양상 123 4. 인어 서사의 현대적 변용 특질 130 5. 맺음말 133 제6장 설화 〈선녀와 나무꾼〉의 형성과 현대적 변용 양상 1. 머리말 137 2. 설화 〈선녀와 나무꾼〉의 형성과 전승 140 3. 설화 〈선녀와 나무꾼〉의 현대적 변용 양상 144 4. 설화 〈선녀와 나무꾼〉 현대적 변용의 특질 152 5. 맺음말 154
제7장 조선 후기 시조時調에 나타난 가족家族의 양상−여성女性을 중심으로 1. 머리말 157 2. 시조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 160 3. 시조에 나타난 여성의 현실과 인식 172 4. 맺음말 177 제8장 가사 작품 〈지지가知止歌〉에 대한 문예적 검토 1. 머리말 181 2. 〈지지가知止歌〉의 작품 전문 183 3. 〈지지가知止歌〉의 자료 검토 189 4. 〈지지가知止歌〉의 작품 구성과 특질 196 5. 맺음말 207 제9장 『환구음초環璆唫艸』에 나타난 지식인의 근대 문명 인식과 특질 1. 머리말 211 2. 김득련의 러시아 사행과 여정의 시적 형상화 214 3. 『환구음초』에 나타난 지식인의 서구 견문과 신문명의 충격 219 4. 맺음말 236
제10장 고전 시문에 나타난 한식韓食의 의미와 양상−냉면冷麪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41 2. 한식문화의 양상 244 3. 한국 냉면의 원형과 특질 247 4. 한국 냉면의 문화적 의미 253 5. 맺음말 257
제11장 고전시가 작품의 발굴 동향과 전망 1. 머리말 261 2. 2000년대 고전시가 작품의 발굴 동향 263 3. 맺음말−고전시가 작품의 발굴 전망과 반성 282 찾아보기 2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