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중산층의 개념, 기능과 규모 제1장 중간소득층 개념의 부상과 중국 사회발전에 대한 함의_리춘링 17 1. 중간소득층 개념 함의의 변화: 소득 분류에서 사회 집단으로 19 2. 중간소득층 개념의 대두: 소득 측면에서 본 사회구조 변천 22 3. 중간소득층 개념의 새로운 함의: 소득불평등 측정과 글로벌화의 발전 추세 25 4. 중간소득층 개념을 정의하는 두 가지 방식: 절대적 기준과 상대적 기준 26 5. 중국 특색의 중간소득층 개념 정의: 전면적 샤오캉 사회 건설 지표 중의 하나로 29 6. 결론 32 제2장 사회구조 속 ‘화이트칼라’와 그들의 사회적 기능: 1990년대 이후의 상하이를 중심으로_리유메이 37 1. ‘화이트칼라’의 연구 방향과 재조명 37 2. 사회구조 속의 신흥 화이트칼라 집단 45 3. 복잡하고 다원적인 사회심리 56 4. 구조적 분리와 화이트칼라의 사회적 기능 67
제3장 중국 거대도시 중간소득층의 직업적 특성_량위청․자샤오솽 75 1.고용성은 중국 중간소득층의 가장 핵심적인 직업적 특징이다 76 2.중국 중간소득층의 직업에는 뚜렷한 공업화, 시장화 및 관료제의 흔적이 존재한다 76 3. 중간소득층에 대한 국가의 역할이 쇠퇴한다 78 4. 중국 중간소득층의 직업 안정성이 높다 80
제2부 중산층의 형성과 정체성 제4장 중간소득층의 변동 추세와 구조 분석(2006~2015)_톈펑 85 1. 거시적 배경 86 2. 최근 10년간 소득수준과 소득 분포의 변화 88 3. 중간소득층의 개념 확정과 발전 추세 91 4. 중간소득층의 구조 분석 95 5. 관련 정책과 건의 100
제5장 주택과 도시 주민의 계층인식: 베이징․상하이․광저우에 대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_장하이둥․양청천 105 1. 문제 제기 105 2. 선행 연구 검토 108 3. 연구 가설 117 4. 데이터, 변수 및 분석 방법 122 5. 경험적 발견 125 6. 결론 및 시사점 136
제6장 중국 사영기업주의 사회구성: 계층과 코호트의 차이_판샤오광․뤼펑 145 1. 문제 제기: 사영기업주 사회적 근원의 차이 145 2. 기존 연구 성과 검토 148 3. 연구 설계 151 4. 분석 결과 158 5. 결론 및 토론 171 제7장 직업계층에서 본 도시 호적자와 농민공의 소득 격차 연구_톈펑 179 1. 문제 정리 및 문헌 검토 181 2. 연구 방법과 데이터 185 3. 주요 분석 결과 187 4. 결론 198 제3부 중산층의 소비문화 제8장중간소득층의 확대를 통한 소비 견인 경제 성장 모색: 상하이 중간소득층 연구 보고_리페이린․주디 205 1. 중간소득층의 규모와 발전 추세 207 2. 산업구조 조정에서의 중간소득층의 기여 213 3. 소비 활성화에 대한 중간소득층의 기여도 218 4. 중간소득층의 생활만족도와 주관적 정체성 228 5. 중간소득층 확대를 위한 정책적 제안 234
제9장 중간소득층의 소비 추이(2006~2015)_주디 241 1. 중간소득층의 가구 지출 추이 241 2. 중간소득층의 내구재 소비 추이 및 영향 요인 249 3. 결론 및 정책적 제안 255
제10장‘교육’ 중심에서 ‘공급’ 중심으로: 도시 중산층의 지속가능한 소비 연구틀과 실증 분석_주디 259 1. 실천론과 인프라의 시각 262 2. 중산층의 지속가능한 소비 지향과 태도 271 3. 중산층의 지속가능한 소비 모형 278 4. 결론과 시사점 284
제11장 시장 경쟁과 집합적 소비 및 환경의 질: 도시 주민 생활만족도 및 영향 요인 분석_주디 291 1. 생활만족도의 분석틀 293 2. 주민의 생활만족도 및 비교 304 3. 주민 생활만족도의 영향 요인 분석 308 4. 결론 및 시사점 324 제4부 중산층의 행동 방식과 가치관 제12장 거대도시 중산층의 국가정체성 연구: 여행 행위 분석을 중심으로_량위청․양샤오둥 333 1. 서론 333 2. 선행 연구 검토 335 3.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 340 4. 연구 설계와 실증 분석 345 5. 결론과 토론 353 제13장신사회계층의 정치 태도 측정 및 비교 연구: 6개 성․시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_장하이둥․덩메이링 357 1. 신사회계층과 정치 태도 358 2. 연구 설계 363 3. 신사회계층 정치 태도의 실증 분석 371 4. 결론과 토론 382
제14장 중산층의 출산의지: 베이징․상하이․광저우 3개 거대도시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_톈펑 385 1. 이론 정리와 기존 문헌 검토 387 2. 데이터 검토와 연구 가설 393 3. 기술통계분석 결과 398 4. 회귀분석 결과 402 5. 결론과 토론 410 맺음말 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