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익준 중국 칭화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학부 중국정경전공 부교수이다. 중국의 경제, 무역, 금융과 대만경제 , 공간경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박철현 중국 런민대학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이다. 관심분야는 중국 동북지역, 국유기업, 노동자, 동아시아 근대국가, 기층 거버넌스, 도시 등이다.
노수연 중국 푸단대학 기업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고려대학교 글로벌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 분야는 중국기업, 중국지역경제, 한·중 경제교류, 문화콘텐츠산업 등이다.
임대근 한국외대 대학원에서 중국영화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외대 융합인재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영화, 아시아 대중문화 교류, 문화콘텐츠 담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을 연구하고 있다.
정주영 중국 베이징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인천대 중국학술원 상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중국 정치개혁과 국가-사회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조경란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의 연구교수이며 동아시아 현대사상 · 중국 현대사상을 연구하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장기적으로 중국의 ‘지성의 위기’ 극복을 위해 20세기 마이너리티 사상 복원에 관심이 많다.
우성민 중국 북경대 역사학과에서 중국고대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한국 고중세사연구소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최근 주로 고대 한중관계사, 중국 역사교과서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연구 성과로「『중외역사강요』속의 중국식 글로벌 가치관 ‘인류운명공동체’의 서술과 시사점」과 『한국고대사계승인식 1, 2』,『세계의 역사교육 어디로 가고 있는가?』 등의 공저가 있다.
김주아 중국 베이징어언대학에서 응용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어와 문화 및 화교․화인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이광수 중국 런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이다. 양안관계와 분단국 통일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