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명청 교체와 청 초기의 학술 제1장 청 초기 국가상황 분석 19 1. 17세기 중엽 중국 사회발전의 수준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 19 2. 명청 교체는 역사의 진전이다 21 3. 혼란에서 안정으로 나아간 청 초기 사회 28 제2장 청조의 문화정책 비판 31 1. 청 초기 문화정책의 주요 측면 31 2. 청조 문화 전략의 사상적 근거 38 3. 청 초기 문화정책의 역사적 작용 45 제3장 즙산남학蕺山南學과 하봉북학夏峰北學의 교섭 49 1. 손하봉孫夏逢이 쓴 유즙산劉蕺山 49 2. 즙산학 북쪽 전파의 중요경로 56 3. 『이학종전理學宗傳』에서 『명유학안明儒學案』까지 62 제4장 『명유학안明儒學案』의 기념비적 가치 67 1. 당쟁의 명장으로부터 학술의 거장으로 67 2. 『명유학안』 완성 시기에 대한 검토 75 3. 주요 내용과 편찬 체제 85 4. 『명유학안』과 『황명도통록皇明道統錄』 103 5. 『명유학안』 본말 탐색 105 제5장 『일지록日知錄』에서 『일지록집석日知錄集釋』까지 123 1. 『일지록』 편찬에 대한 고찰 123 2. 사회정치사상 134 3. 경학사상 141 4. 사학사상 150 5. 문학사상 153 6. 무실務實학풍 158 7. 『일지록집석日知錄集釋』의 찬집纂輯 167 제6장 이이곡李二曲 사상 연구 175 1. 『청사고淸史稿』 이옹李顒 본전 변증 175 2. “회과자신悔過自新”설 분석 181 3. 이이곡李二曲 사상의 기본 특징 186 4. 이이곡과 청 초기의 관학關學 194 5. 이이곡사상의 역사적 가치 198 6. 결론 203 제7장 안리학파顔李學派의 역사적 운명 205 1. 안원顔元 학설의 형성 205 2. 안원과 장남서원漳南書院 208 3. 안학顔學에 대한 이공李塨의 계승과 결별 215 4. 왕원王源의 학문과 행적 약술 219 제8장 범호정范鄗鼎과 『이학비고理學備考』 229 1. 범호정의 학문과 덕행 약술 229 2. 『명유이학비고』2부 232 3. 『국조이학비고』에 관하여 235 제2부 건가학파와 건가학술 제9장 사상사와 사회사 결합의 전범 241 1. 18세기 중국 사회의 기본 상황에 대한 인식 241 2. 건가 한학의 형성에 관하여 245 3. 건가 한학은 하나의 역사적 과정 249 4. 나머지 논의 251 제10장 강남 중심 도시와 건륭乾隆 초기 고학古學의 부흥 255 1. 고학 부흥의 선구자들 255 2. 강영江永과 휘주徽州의 유학자들 258 3. 소주蘇州 자양서원紫陽書院 261 4. 노견증盧見曾과 그의 양주揚州 막부 264 5. 혜동惠棟, 대진戴震으로부터 전대흔錢大昕으로 268 제11장 경연강론을 통해 본 건륭시기의 주자학 273 1. 고종 초엽의 정치와 주자학의 제창 274 2. 경연강론 가운데 주자학에 대한 질의 278 3. 이학 제창에서 경학 장려로 286 4. 나머지 논의 292 제12장 『송원학안』의 편찬 약술 299 1. 황종희 부자: 창시創始의 공 299 2. 전조망과 『송원학안』 316 3. 『송원학안』의 간행 334 제13장 대동원戴東原의 학술 339 1. 강영江永으로부터 대진戴震으로 339 2. 혜동惠棟과 대진 344 3. 대진 학설의 전파 351 4. 『사고전서』에 헌신하다 356 5.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과 그 운명 359 제14장 양주揚州 유자들과 건가학파 367 1. 왕중汪中의 선진제자연구 367 2. 초순焦循의 경학사상 371 3. 건가학술에 대한 고우高郵 왕씨 부자의 종합 376 4. 완원阮元과 『황청경해皇淸經解』 380 5. 공자의 인학과 완원의 『논어논인론論語論仁論』 388 6. 나머지 논의 398 제15장 장실재章實齋 연구의 두 과제 403 1. 장실재 가서家書 찰기札記 403 2. 장실재집章實齋集외 일찰佚札 2통 고증 421 제16장 『중국근삼백년학술사』찰기札記 429 1. 건가학파가 고증으로 기운 연유 429 2. 건가 사상계의 세 거두 434 3. 장씨학莊氏學의 연원에 대한 탐구 442 제17장 건가학파연구와 건가학술문헌정리 455 1. 『청인별집총목淸人別集總目』의 편찬 455 2. 별집 일문佚文의 편집과 보존 459 3. 제가諸家연보의 정리 464 제3부 청 말기 학술 및 일대一代 학술의 총결 제18장 한송漢宋학술논쟁과 『국조학안소식國朝學案小識』 475 1. 한송학술논쟁의 유래와 발전 475 2. 강번江藩과 『국조한학사승기國朝漢學師承記』 480 3. 방동수方東樹와 『한학상태漢學商兌』 485 4. 당감唐監의 일생과 학술 및 품행 488 5. 『국조학안소식國朝學案小識』의 요점 491 6. 편찬 체례體例와 그 평가 494 제19장 청나라 말 70년의 사상과 학술 499 1. 경세 사조의 굴기 499 2. “중체서용中體西用”으로부터 “삼민주의三民主義”에 이르기까지 506 3. 한송漢宋 학술을 회통하여 새로운 학문을 구하다 515 제20장 청대학술사연구에 대한 양계초의 공헌 529 1. 『근세지학술近世之學術』에 관하여 529 2. 『청대학술개론淸代學術槪論』의 성과 534 3. 『중국근삼백년학술사中國近三百年學術史』의 편찬 538 4. 걸출한 공헌 개요 543 5. 거장이 남긴 사고 549 6. 양임공梁任公선생과 청화淸華연구원 551 제21장 『청유학안』에 대한 몇 가지 인식 559 1. 서세창徐世昌 서적편찬을 발기하다 559 2. 하손동夏孫桐과 『청유학안』 562 3. 『청유학안』의 요점 열거 570 4. 『청유학안』의 몇 가지 검토할 부분 580 제22장 『청유학안』의 여파 587 1. 당唐․서徐 두 『학안』에 대한 비평 587 2. 청나라 이학理學 발전의 네 단계 591 3. 정진精進은 그치지 않고 평생토록 계속되다 596 4. 나머지 논의 599 
부록 학안 해석의 시도 1. 『명유학안』으로 말문을 떼다 603 2. 문헌연원의 계시를 거슬러 올라가다 605 3. 학안명칭 해석에 대한 곤혹감 608 후기 청대 학술사 연구에 대한 질문에 답함 1. 대학원 시절의 학문생활 613 2. 나의 학안사學案史 연구 615 3. 건가학파乾嘉學派에 대한 연구 620 4. 글에 대해 널리 배우고, 자신의 행동에 부끄러움이 있음[博學於文 行己有耻] 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