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매켄지론(論) 제1장 총론 12 제2장 ‘파라오(Pharaoh)’의 정체(正體) 17 제3장 ‘고대 이집트 역사(歷史)’ 요점 80조(條) 21 제1조(條): ‘라(Ra)’ 신의 출현/ 제2조(條): ‘뱀’ 신의 출현/ 제3조(條): 그 ‘명칭’이 그 ‘권능’이다./ 제4조(條): 라(Ra)의 도시, 헬리오폴리스/ 제5조(條): ‘주요 신들의 위치’를 지정하다./ 제6조(條): 최후의 심판자(審判者)/ 제7조(條): ‘피’와 ‘맥주’와 ‘감로수’/ 제8조(條): 오시리스와 이시스의 출현/ 제9조(條): 세트와 호루스의 결전/ 제10조(條): ‘나일 강’의 문화 -이집트/ 제11조(條): 곡식의 신, 오시리스와 이시스/ 제12조(條): ‘바빌로니아’에서 온 태양 숭배자들/ 제13조(條): 초기 ‘물대기[灌漑]’ 계획/ 제14조(條): ‘메나(Mena, Narmer)’의 이집트 통일/ 제15조(條): 아홉 지신(地神)과 프타(Ptah) 대신(大神)/ 제16조(條): 이집트 사학(史學)의 대명사 -마네토(Manetho)/ 제17조(條): 최초의 피라미드/ 제18조(條): 인간 3개조(組)/ 제19조(條): 미라(Mummies)/ 제20조(條): 사자(死者)를 심판하는 법정(法庭)/ 제21조(條): 사후(死後)의 ‘알루(Aalu) 낙원’/ 제22조(條): 쿠푸(Khufu)의 대(大) 피라미드/ 제23조(條): ‘현실’에 있는 ‘태양의 정령(精靈)’/ 제24조(條): 카프라(Khafra)의 스핑크스(Sphinx)/ 제25조(條): 예언가 ‘데디(Dedi)’/ 제26조(條): 함성을 지르는 뱀, 세트(Set)/ 제27조(條): ‘3’의 마법적 의미/ 제28조(條): 오시리스와 이시스의 아들 ‘호루스(Horus)’/ 제29조(條): 프타호텝(Ptah-hotep)의 가르침/ 제30조(條): 충신(忠臣) ‘우니(Uni)’의 업적(業績)/ 제31조(條): 헤라클레오폴리스의 신학(神學)/ 제32조(條): 예언(預言)의 신, 아몬(Amon)/ 제33조(條): 치병(治病)의 신, 콘수(Khonsu)/ 제34조(條): ‘아메네메트의 교훈’과 세소스트리/ 제35조(條): ‘파이움(Fayum) 습지(濕地)’의 활용 가치/ 제36조(條): 베니하산(Beni-hassan) 공향도(供香圖)/ 제37조(條): 거대한 스핑크스(The Great Sphinx)/ 제38조(條): ‘목동의 왕’ 힉소스(Hyksos)/ 제39조(條): 힉소스(Hyksos)가 소개한 이집트의 말 사육(飼育)/ 제40조(條): 말[馬]과 전차(戰車)를 탄 아리안(Aryans)/ 제41조(條): 힉소스(Hyksos)에 대한 ‘성경’ 관련 이야기/ 제42조(條): 고관(高官) 요셉(Joseph)/ 제43조(條): 고센(Goshen)에서의 이스라엘들/ 제44조(條): 아바리스(Avaris)에서의 ‘출애굽’/ 제45조(條): 이집트인의 ‘독립 전쟁’/ 제46조(條): 라(Ra)왕 ‘아페파’와 ‘세케네느라’의 전쟁/ 제47조(條): 여왕 ‘아호텝’과 아메스 Ⅰ세/ 제48조(條): 새로운 ‘전쟁 방법’/ 제49조(條): 토트메스 Ⅲ세의 ‘메기도(Megiddo) 포획(捕獲)’/ 제50조(條): 도시 생활의 즐거움/ 제51조(條): ‘이집트의 절제 교육’/ 제52조(條): ‘용병(傭兵)’의 성행/ 제53조(條): 외국인 왕비/ 제54조(條): 수테크(Sutekh) 신과 발(Baal) 신/ 제55조(條): 야곱(Jacob)과 ‘부적(符籍)’/ 제56조(條): 아메노테프 Ⅱ세의 종교/ 제57조(條): 토트메스 Ⅳ세와 스핑크스(Sphinx)/ 제58조(條): 사자(獅子) 사냥을 즐긴 아메노테프 Ⅲ세/ 제59조(條): ‘티(Tiy) 왕비’의 영향력/ 제60조(條): 몽상(夢想)의 파라오, 아케나톤(Akhenaton)/ 제61조(條): 이집트 역사는 종교의 역사다./ 제62조(條): ‘용(龍)의 살해자’, 람세스 Ⅱ세/ 제63조(條): 람세스 Ⅰ세와 히타이트(Hittites)/ 제64조(條): 람세스 Ⅱ세의 ‘시리아 정복’/ 제65조(條): ‘유럽 해적(海賊)들’의 이집트 습격/ 제66조(條): 대(大) 트로이 전쟁(The Great Trojan War)/ 제67조(條): ‘철(鐵)’의 사용이 제한된 구역(A Corner in Iron)/ 제68조(條): 사울과 다윗/ 제69조(條): 파라오 셰송크와 솔로몬/ 제70조(條): 셰송크의 ‘예루살렘 약탈’/ 제71조(條): 거대 왕국 ‘아시리아’ 출현/ 제72조(條): 위대한 정치가, 이사야(Isaiah)/ 제73조(條): 아시리아의 이집트 정복/ 제74조(條): ‘상형 문자’와 ‘민중 문자’/ 제75조(條): 네코 파라오와 ‘요시아 왕(King Josiah)’/ 제76조(條): 바빌론의 유수(幽囚, Babylonian Captivity)/ 제77조(條): 희랍인을 좋아했던 파라오(Amasis)/ 제78조(條): ‘키루스(Cyrus) 왕’의 등장/ 제79조(條): ‘페르시아’의 이집트 정복/ 제80조(條): 인기 높은 도시,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제4장 ‘이집트의 역사’와 ‘중국(中國)의 역사’ 102 제5장 ‘이집트의 역사’와 ‘이스라엘의 역사’ 114 제6장 매켄지의 시각과 그 탐구 성향 126 ① ‘과학주의’ ② ‘개별 종족 국가주의 인정’ ③ ‘군권(軍權) 긍정’ ④ ‘경제제일주의’ ⑤ ‘도덕 지향[절대정신]’과 ‘쾌락주의[현세주의]’의 동시주의 ⑥ ‘기독교 우선주의’ ⑦ ‘영국[스코틀랜드] 중심주의’ ⑧ ‘지중해 문화권’ ⑨ ‘이후 추가된 정보(情報)들’ ⑩ 매켄지 약전(略傳) 제7장 ‘고대 이집트 33 왕조’ 파라오 일람 135 제8장 고대(古代) 이집트 역사 지도 253 ① 고대 이집트 ‘지도 Ⅰ’: 이집트 33왕조 주요 도시/ ② 고대 이집트 ‘지도 Ⅱ’: ‘힉소스(Hyksos) 세력 확장도’[제15~17왕조]/ ③ 고대 이집트 ‘지도 Ⅲ’: 미타니 왕국[1400 b. c.]/ ➃ 고대 이집트 ‘지도 Ⅳ’: 이스라엘[사마리아]과 유다[예루살렘] 왕국-[제22왕조 기간의 팔레스타인]/ ➄ 고대 이집트 ‘지도 Ⅴ’: 아시리아 지배 시기[제25왕조]/ ➅ 고대 이집트 ‘지도 Ⅵ’: 페르시아 왕조[제27왕조]/ ➆ 고대 이집트 ‘지도 Ⅶ’: 로마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멸망]/ ⑧ 고대 이집트 ‘지도 Ⅷ’: 찾아보기 제2부 고대 이집트 역사 서문 Ⅰ. 태양 숭배 자들의 전설(傳說) 창조 274 Ⅱ. 오시리스의 비극 285 Ⅲ. 문명의 새벽 297 Ⅳ. 왕이 된 농부 307 Ⅴ. 이집트와 유럽에서의 종족 신화 319 Ⅵ. 엘프(Elf) 신의 도시 329 Ⅶ. 죽음과 심판 336 Ⅷ. 석조공(石造工)들의 종교 345 Ⅸ. 구(舊) 멤피스(Memphis)에서의 하루 355 Ⅹ. 위대한 피라미드 왕들 363 Ⅺ. 5천년의 민담(民譚) 370 Ⅻ. 태양신의 승리 379 ⅩⅢ. 구(舊) 왕조의 쇠망 390 ⅩⅣ. 부신(父神)과 모신(母神) 399 ⅩⅤ. 아몬(Amon)의 흥기(興起) 407 ⅩⅥ. 망명한 왕자 이야기 415 ⅩⅦ. 이집트의 황금시대 425 ⅩⅧ. 중기 왕조의 신화와 가요 433 ⅩⅨ. 마법(魔法)의 섬 443 ⅩⅩ. 힉소스(Hyksos)와 그들의 이방(異邦) 신 446 ⅩⅪ. 요셉(Joseph)과 ‘출애굽’ 457 ⅩⅩⅡ. 왕국의 신 아몬(Amon) 465 ⅩⅩⅢ. 불운의 왕자 이야기 475 ⅩⅩⅣ. 사회적 종교적 생활의 변화 480 ⅩⅩⅤ. 장엄한 ‘아메노테프’와 ‘티’ 여왕 488 ⅩⅩⅥ. ‘시인(詩人) 왕’의 종교 혁명 493 ⅩⅩⅦ. ‘람세스 왕국’과 호머(Homer) 시대 502 ⅩⅩⅧ. 이집트와 유대인 왕국 512 ⅩⅩⅨ. 복원과 종말 521 * 추수자 후기 5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