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호머(Homer)론 Ⅰ. ‘일리아드(The Iliad)’가 ‘마하바라타(The Mahabharata)’ 영향 아래 있었다는 19가지 증거 13 ① ‘절대 신의 세상 심판(審判)’ 이야기/ ② ‘올림포스 산’ -‘메루(Meru) 산’/ ③ ‘호머(Hmer)’의 시각과 ‘산자야(Sanjaya)’ 시각/ ④ ‘아테나(Athena)’ -‘크리슈나(Kishna)’/ ⑤ 오디세우스(Odysseus) -아르주나(Arjuna)/ ⑥ 헥토르(Hector) -비슈마(Bhishma)/ ⑦ 헬렌(Helen) -드라우파디(Draupadi)/ ⑧ 메넬라오스(Menelaus) -유디슈티라(Yudhishthira) ⑨네스토르(Nestor) -비아사(Vyasa)/ ⑩ 아가멤논(Agamemnon) -드리타라슈트라(Dhritarashtra)/ ⑪ 아킬레스(Achilles)의 ‘고함(高喊) 소리’/ ⑫ ‘사제(司祭) 존중’의 문화/ ⑬ ‘말[馬]’을 숭배하는 종족/ ⑭ ‘화장(火葬) 문화’의 공유/ ⑮ ‘인명(人命)’을 표준으로 한 인과응보(因果應報)론/ ⑯ ‘무한정의 신비주의(Mysticism)’ 용인(容認)/ ⑰ 헥토르(Hector)와 대(大) 아이아스(Great Ajax)의 대결/ ⑱ 분쟁의 원인을 ‘돈[富]’에 두다./ ⑲ ‘낭송’을 전제한 ‘율격(律格)을 갖춘 미문(美文)’ Ⅱ. ‘오디세이(The Odyssey)’가 ‘마하바라타(The Mahabharata)’ 영향 아래 있었다는 17가지 증거 42 ① 포세이돈과 오디세우스 -‘삼지창(Pinaka)의 신’ 시바(Siva)와 아르주나/ ② ‘신의(信義)’를 지키는 오디세우스 -‘맹세’에 어김이 없는 아르주나/ ③ ‘트로이’를 멸망시킨 영웅 오디세우스 -‘카르나(Karna)’를 잡은 영웅 ‘아르주나’/ ④ ‘여성’을 초월한 오디세우스 -‘매혹’의 아르주나/ ⑤ ‘아들’을 둔 오디세우스 -‘황손(皇孫)’을 남긴 아르주나/ ⑥ ‘고통의 인생 표본’이 된 오디세우스 -‘말 제사 사명(使命)’을 완수한 아르주나/ ⑦ ‘알키노오스(Alcinous) 왕’과 오디세우스/ ⑧ 외눈막이 거인(One-Eyed Giant) 폴리페모스(Polyphemus)/ ⑨ ‘마술’에 능한 키르케(Circe) 여왕/ ⑩ ‘저승’ 방문한 오디세우스/ ⑪ ‘태양신의 소(Sungod's cattle)’/ ⑫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Eumaeus)’에게 행한 오디세우스의 변명/ ⑬ ‘독수리’와 동일시된 오디세우스/ ⑭ 안티노오스(Antinous)의 횡포/ ⑮ 페넬로페(Penelope)의 ‘스와얌바라(Swayamvara, 남편 고르기 대회)’/ ⑯ ‘대회 후유증’/ ⑰ ‘저승’ 이야기 Ⅲ. ‘일리아드(The Iliad)’ ‘오디세이(The Odyssey)’가 ‘마하바라타(The Mahabharata)’와 다른 점 16가지 72 ① ‘절대신 권능 찬송’에서 ‘영웅의 업적 나열’로/ ② 무기(武器)들의 다양화/ ③ ‘식사(食事) 존중’의 실존주의/ ④ ‘명성(名聲, honor)’ -신의 권능으로만 가능한 것./ ⑤ ‘살아남은 자가 최고의 승자(勝者)다.’/ ⑥ ‘출세하여 고향 찾기’ -오디세우스의 희망 사항/ ⑦ ‘부자(父子) 관계’ 중시/ ⑧ ‘여성 미모(美貌)’의 ‘생태(生態)적 의미’ 긍정/ ⑨ 여성들의 ‘행동 방향[도덕성]’ 명시/ ⑩ ‘종족주의’ ‘지역주의’ 옹호/ ⑪ ‘공동체 중심주의’에서 ‘개인주의’로/ ⑫ ‘인간을 돕는 신들’의 옹호/ ⑬ ‘약탈(掠奪)의 생활화’ -‘지중해(地中海) 해적(海賊) 문화’ 옹호/ ⑭ ‘손님(guest) 접대(接待)의 양속(良俗)’ 찬양/ ⑮ ‘각종 도구’와 ‘술’ ‘약품’의 자랑/ ⑯ 최고(最高) 자기도취 자(自己陶醉 者)의 서술 Ⅳ. 호머(Homer) 유산(遺産)의 역사적 전개(展開) 89 ① 헤로도토스의 ‘역사’/ ② 플라톤의 ‘국가’/ ③ 호머를 모두 수용한 로마(Rome) 문화/ ④ ‘신약’ 서술자의 ‘천사’/ ⑤ 단테의 ‘신곡’/ ⑥ 셰익스피어의 ‘햄릿’/ ⑦ 괴테의 ‘파우스트’/ ⑧ 헤겔 ‘법철학’ -미네르바의 부엉이/ ⑨ 히틀러 ‘나의 투쟁’ Ⅴ. ‘다다 혁명 운동(Movement Dada)’ 이후의 기준 103 ① 뉴턴의 ‘프린키피아’/ ② 볼테르의 ‘캉디드(Candide, 1759)’/ ③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영구평화론’/ ④ 포콕의 ‘희랍 속의 인도’/ ⑤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⑥ 프로이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⑦ 피카소 -‘게르니카’/ ⑧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스’/ ⑨ 마그리트 -‘백색 인종’ Ⅵ. ‘일리아드(The Iliad)’ ‘오디세이(The Odyssey)’ 관련 지도(地圖) 124 ① 올림포스 산(Mt. Olympus)과 프티아(Phthia) 지도/ ② 미케네(Mycenae) 스파르타(Sparta) 필로스(Pylos) 지도/ ③ 트로이(Troy) 지도 -1/ ④ 트로이(Troy) 지도 -2/ ⑤ 오디세우스(Odysseus)의 이타카(Ithca) 귀환 지도 제2부 일리아드(The Iliad) 제1책 아킬레스의 분노 132 제2책 ‘트로이’로 집결한 사방의 용사들 147 제3책 헬렌이 아카이아 명장(名將)들을 소개하다. 158 제4책 ‘진리’가 전쟁으로 폭발되다. 171 제5책 신들과 싸운 디오메데스 182 제6책 헥토르가 트로이 성(城) 안으로 들어가다. 193 제7책 아이아스(Ajax)와 헥토르 202 제8책 전투의 흐름이 바뀌다. 210 제9책 아킬레스에게 사절(使節)을 파견하다. 219 제10책 야간 약탈 228 제11책 영광스런 아가멤논의 날 237 제12책 트로이 군사들이 방어벽을 후려치다. 246 제13책 함선 빼앗기 전투 253 제14책 헤라가 제우스의 허(虛)를 찌르다. 261 제15책 항만(港灣)에 갇힌 아카이아 군사들 270 제16책 파트로클로스의 투쟁과 사망 279 제17책 메넬라오스의 최고 시간 288 제18책 아킬레스의 방패 297 제19책 아킬레스의 무기들 303 제20책 전장(戰場)으로 내려온 올림포스의 신들 310 제21책 아킬레스가 강신(江神)과 싸우다. 320 제22책 헥토르(Hector)의 죽음 327 제23책 파트로클로스 장례식 게임 333 제24책 아킬레스와 프리암 345 제3부 ‘오디세이(The Odyssey)’ 제1책 텔레마코스에게 여신 아테나가 나타나다. 354 제2책 텔레마코스의 출항 361 제3책 네스토르 왕의 회상(回想) 368 제4책 스파르타의 왕과 왕비 375 제5책 오디세우스의 파선(破船)과 님프 387 제6책 공주와 이방인 393 제7책 파이아키아 궁전과 장원(莊園) 397 제8책 음악과 경연 대회의 하루 404 제9책 외눈박이 거인의 동굴에서 413 제10책 마법을 거는 키르케(Circe) 여왕 424 제11책 사자(死者)의 나라 432 제12책 태양의 소들 440 제13책 드디어 이타카에 도착하다. 447 제14책 왕가의 돼지치기 451 제15책 텔레마코스가 귀국(歸國)하다. 456 제16책 아버지와 아들의 상봉(相逢) 460 제17책 궁문 앞의 이방인 467 제18책 이타카의 거지 왕, 이로스(Irus) 474 제19책 페넬로페와 나그네 478 제20책 여러 가지 조짐들 483 제21책 오디세우스가 활줄을 매다. 488 제22책 궁중에서의 도살 498 제23책 거대한 나무뿌리로 만든 침상 502 제24책 평화 505 참고문헌 508 추수자 후기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