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_4 들어가는 말_13 차, 술, 그리고 물맛_심규호 1. 차맛(茶味) 24 2. 술맛(酒味) 30 3. 물맛 33 상상 속의 오감_최일의 1. 오감의 부정확성, 마음의 눈을 뜨라 40 2. 언어의 불완전성, 상상 속의 오감 함축 ― 중국 시론의 지향 44 3. 현실의 오감과 상상 속의 공감각적 이미지 ― 중국 시의 특징 50 오색(五色), 오음(五音), 오미(五味)를 거부하라 -감각에 대한 노자(老子)의 인식_김원중 1. 부정과 역설: 노자 사유의 핵심 64 2. 세상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추악한 것이다? 67 3. 다섯 가지 색깔과 다섯 가지 소리와 다섯 가지 맛이 문제다 69 4. 한계를 드러낸 인간의 언어를 벗어나라 73 5.보려 해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고 잡으려 해도 잡히지 않는 법 76 6. 모든 상식을 거부하고 다시 재편하라 78 소리의 울림과 결합-이백(李白) 악부시(樂府詩)의 한 독법_김의정 1. 이야기의 시작 84 2. 소리 하나: 들려주는 자 - 듣는 자 87 3. 소리 둘: 하나가 되는 노래 91 4. 소리 셋: 이야기의 안과 밖 96 시인의 목소리와 스타일-이백(李白)의 <월하독작(月下獨酌)>_서용준 1. 노래의 가사와 가수의 관계 110 1) 양희은의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와 〈자우림〉의 보컬 김윤아 110 2) 원곡 노래의 목소리와 가사 111 3) 가수들의 커버 송과 김윤아의 커버 송 113 4) 김윤아의 개성과 분노 117 2. 이백(李白)의 시〈월하독작(月下獨酌)〉에 들리는 시인의 목소리 120 1)〈월하독작(月下獨酌)〉의 감성에 대한 평가 121 2)〈월하독작〉의 시적인 구조 123 3) 시인 이백의 스타일 125 ‘미(味)’ 체험과 ‘식(食)’의 사회화-두보(杜甫)의 시_노우정 1. 미감(味感)을 시(詩)의 미감(美感)으로 136 2. 낯선 감각과 기억의 환기 138 3. 생존과 계층의 구별짓기 기호 146 4. 나눔 정신과 연대감 157 5. 두시(杜詩), ‘식(食)’의 문화 의미 163 문자화된 놀이-공평중(孔平仲)의 《시희(詩戱)》_최석원 1. 문자로 놀이하다-유희적 시체의 등장과 발전 168 2. 《시희(詩戱)》에 수록된 잡체시(雜體詩)의 몇 가지 170 1) 약명에 이합을 겻들이다 171 2) 장두체(藏頭體)를 활용해 누군가에게 시를 보내다 175 3. 유희를 통한 문학적 위안 179 촉각과 정서표현-이청조(李淸照)의 사(詞)_김 선 1. 들어가며 190 2. 날씨 변화에 따른 감정 기복 190 3. 비바람과 예기치 않은 시련 194 4. 눈물에 담긴 슬픈 정서 196 5. 접촉으로 인한 감정 세계 200 6. 상한 마음 엿보기 203 7. 나오며 208 자유와 쾌락을 추구한 감각적 글쓰기-양유정(楊維楨)의 시_김지영 1. 원말ㆍ명초를 살아간 지식인 214 2. 양유정의 악부체와 철애체(鐵崖體) 218 3. 자유와 쾌락을 펼쳐낸 양유정의 글쓰기 222 1) 유선시(遊仙詩): 환상적인 신선세계를 묘사함 223 2) 향렴시(香奩詩): 여성의 색정을 드러냄 227 3) 제화시(題畵詩): 그림에 대해 감상함 229 4. 문호(文豪)와 문요(文妖)라는 평가 사이에서 232 오감, 그 짜릿함에 대하여-명대(明代)의 민가(民歌)_서연주 1. 오감(五感)의 집적체, 명대 민가 240 2. 시각 242 3. 청각 245 4. 촉각 249 5. 미각 252 6. 후각 255 7. 명대 민가, 그 짜릿함에 대하여 256 8. 참된 감각의 노래, 민가 261 뮤즈가 된 여성, 지배된 감각-주이준(朱彝尊) 인체 영물사(詠物詞) <심원춘(沁園春)> 12수_김하늬 1. 사(詞)와 여성의 몸 266 2. 비극적 사랑의 재생 269 3. 꿰뚫어보는 눈, 지배된 감각 276 4. 나가며 - 뮤즈(Muse)가 된 여성 282 청각적 상상력-《홍루몽(紅樓夢)》_노선아 1. 고대 중국에서 듣는 것이란? 289 2. 작가 조설근(曹雪芹)의 음악적 소양 293 3. 외로운 소녀의 마음에 울리는 서글픈 소리 296 4. 우연히 들려온 사랑의 고백 299 5. 환청으로 만들어 낸 허구의 세계 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