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 Home > 신간안내

강남 고대 도회의 건축과 생태미학    
저자:왕운 저, 방금화 역
출판일월일:2018년 1월 12일
판형/면:신국판 / 462면
ISBN:978-89-6071-716-9 93610
판매가격 :
수 량 :


이 책은 강남의 고대 도회 건축을 구체적인 역사 텍스트로 해서 중국 본토 사상과 당대 생태미학의 상호 조명을 실현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학제적 거시 방식으로 텍스트의 미세한 부분까지 접근해 시적 생태체험으로 강남의 고대 도회 건축의 문화원형을 입체적으로 환원했으며 중국 특색을 지닌 생태미학연구에 사례를 제공했다. 강남 고대 도회 건축의 대표인 강남 정원이 인류중심주의자의 욕망의 팽창도 아니고 인류의 주체성을 포기 하고 황량한 이역으로 돌아가는 것도 아니며, 정원의 매력은 일련의 생태적이고 완전한 생명복합체계를 모의해 인류와 자연이 공생하는 평등한 결과임을 지적한다.
생태미학적 관점에 입각해 고대 강남의 건축문화를 주제로 삼아 강남 건축의 가장 대표적 표현방식인 수교(水橋), 정랑(亭廊), 바닥재와 함께 원림(園林)에는 생태적인 미학이 함축돼 있고, 고대 강남 건축의 내재된 심오함은 건축물 중축선의 변화, 성벽의 건축방식, 사찰의 탑 등을 통해 자세히 풀어냈다.
중국의 생태미학 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됐는데 특히 1984년은미학의 해로 불릴 만큼 미학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한 해였다. 서구의 담론으로 문화의 패러다임을 해석하는 각종 방법이 소개됐고, 그 중에는 환경철학도 포함돼 있었다. 현재 중국에서 생태미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주요 대학은 세 군데가 있는데 산동대학(山東大學), 하문대학(廈門大學), 소주대학(蘇州大學)이 대표적이다. 소주대학 생태비평연구센터는 정신생태(精神生態)’의 창시자인 노추원(鲁枢元)이 창설했으며 이들은 동방 생태주의자로서 서구중심주의자에 특히 천층(浅层) 생태철학에 맞설 만한 심층 생태철학이라는 관점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