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작품 <윤하정삼문취록>은 105권 105책으로 된 거질의 대장편소설로, 100권 100책의 <명주보월빙>과 30권 30책의 <엄씨효문청행록> 등과 함께, 235권 235책의 대장편서사체인 ≪명주보월빙 연작≫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연작 전체가 배경ㆍ인물ㆍ사건ㆍ주제 등에 있어 일정한 연대성을 유지하면서 한편의 작품으로 통합되어진, 하나의 거대한 예술적 총체를 이루고 있다. 그 3부작을 합하면 원문 글자 수가 도합 334만여 자(<보월빙>149만자 <삼문취록>145만자, <청행록>40만자)에 이를 만큼 방대하여, 세계문학사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대장편소설인 동시에, 1700년대 말 내지 1800년대 초의 조선조 소설문단의 창작적 역량을 한눈에 보여주는 대작이자, 한국고소설사상 최장편소설로 꼽히고 있다.
양식 면에서, ≪명주보월빙 연작≫은 중국 송나라를 무대로 하여 윤ㆍ하ㆍ정 3가문의 인물들이 대를 이어 펼쳐가는 삶을 다룬 <보월빙>․<삼문취록>과, 윤문과 연혼가인 엄문의 인물들이 펼쳐가는 삶을 다룬 <청행록>으로 이루어져, 그 외적양식 면에서는 <보월빙>-<삼문취록>-<청행록>으로 이어지는 3부 연작소설이며, 내적양식 면에서는 윤ㆍ하ㆍ정ㆍ엄문이라는 네 가문의 가문사가 축이 되어 전개되는 가문소설이다.
내용면에서 보면, 이 연작에는 모두 787명(<보월빙>275, <삼문취록>399, <청행록>113)에 이르는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여, 군신ㆍ부자ㆍ부부ㆍ처첩ㆍ형제ㆍ붕우 등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사건들을 펼쳐가면서, 충ㆍ효ㆍ열ㆍ화목ㆍ우애ㆍ신의 등의 주제를 내세워, 인륜의 수호와 이상적인 인간 공동체의 유지ㆍ발전을 위한 善的 價値들을 권장하고 있다. 아울러 주동인물군의 삶을 통해 고귀한 혈통ㆍ입신양명ㆍ전지전능한 인간ㆍ일부다처ㆍ오복향수ㆍ이상향의 건설 등과 같은 사대부귀족계급의 현세적 이상을 시현해놓고 있다.
이 책 교주본 윤하정삼문취록은 105권105책, 약 145만자로 필사된 ‘낙선재본’을 원문교정을 통해, 원문자체에 내재해 있는 오류들을 전후 문맥과 원작자 또는 필사자의 어휘사용이나 문체 등의 글쓰기 관행, 속담ㆍ격언ㆍ고사성어ㆍ名句 등의 인용에 있어서의 오류 여부 등을 면밀히 살펴, 원문의 오자ㆍ탈자ㆍ오기ㆍ연문ㆍ결락ㆍ낙장 들을 교정하고, 여기에 띄어쓰기와 한자병기 및 광범한 주석을 가해 편찬한 것이다.
그 결과 컴퓨터 문서통계 프로그램이 계산해준 이 책의 파라텍스트(para-text)를 제외한 본문 총글자수는 347만자에 이른다. 원문 145만자를 제외하면, 교정ㆍ한자병기ㆍ띄어쓰기 등 정확한 원문구축을 위해 첨가된 글자 수가 125만자에 이르고, 주석 11,596개 항목에 사용된 글자 수가 77만자에 이르러, 원문글자수 보다도 훨씬 많은 총 202만자가 첨가되었다. 그만큼 이 책은 정확한 원문구축과 원문의 可讀性을 높이고 해석적 불완전성을 제거하는데 주력함으로써 일반 독자들이나 연구자들이 쉽게 원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다.
이 책의 출판을 계기로 이 연작이 더 많은 독자들과 연구자, 문화계 인사들의 사랑과 관심을 받게 되고, 영화나 TV드라마 등으로 제작되어, 민족의 삶과 문화가 더 널리 전파되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작품 속에 등장하는 앵혈ㆍ개용단ㆍ도봉잠ㆍ회면단ㆍ도술ㆍ부적ㆍ신몽ㆍ천경ㆍ신장ㆍ신병 등의 다양한 상상력을 장착한 소설적 도구들은 민족을 넘어 세계인들의 사랑과 흥미를 이끌어내기에 충분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