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濟州島의 영등굿 |현용준| • 서 론 • 영등신의 성격 • 영등굿의 分布 • 마을의 배경과 굿의 준비 • 굿의 祭次와 진행 • 결 론
02 濟州 칠머리당굿 |현용준| • 槪說과 由來 • 時期와 場所 • 굿의 준비 • 굿의 構成과 內容 • 예전의 굿과 오늘날의 굿
03 제주도 잠수굿의 의례형태와 의미 |강소전| • 서 론 • 잠수굿의 제차(祭次)와 그 역할 • 잠수의 의례형태와 잠수굿의 의미 • 결 론
04 제주도 해신당 |문무병| • 해신당(海神堂)이란? • 해신(海神) • 해신의례(海神儀禮)
05 공존의 신념으로서의 제주 잠수들의 속신 |민윤숙| • 속신: 개념 및 접근의 문제 • 잠수의 물질과 ‘불턱’ 그리고 속신 • 오래된 공존의 신념 체계 • 결론: 속신의 소멸 혹은 지속
06 馬羅島海女의 入漁慣行 |김영돈|
07 濟州海女 調査硏究 |김영돈| • 序 論 • 海女入漁에 따른 習俗 • 海女社會의 民間信仰 • 海女社會의 共同體意識 • 海女社會의 口碑傳承 • 海女社會의 變遷 • 結 論
08 平日島 ‘무레꾼’[潛女]들의 組織과 技術 |고광민| • 序 論 • 平日島 槪況 • 平日島 무레꾼들 認知 틀로 들여다 본 바다밭 환경과 그에 따른 海洋生態界 • 平日島 무레꾼들의 漁撈組織 • 平日島 무레꾼들의 認知技術 • 結 論
09 濟州海女의 民俗學的 硏究 |김영돈| • 序 論:濟州海女의 珍重性과 그 硏究課題 • 海女作業에 따른 怪奇傳承 • 海女社會의 民間信仰 • 海女器具槪要 및 그 慣行 • 海女와 海女노래 • 結 論
10 제주 잠수 물질의 생태학적 측면 |민윤숙| • 서 론 • 조사 마을과 잠수들의 물질 • 지속가능한 최대 수확을 위한 생태학적 원리 • 물질 민속의 양상과 생태학적 원리 • 결 론
11 조도군도 관매도의 미역밭 경작과 생업전략 |송기태| • 서 론 • 관매도 미역밭의 관리와 경작과정 • 수렵과 경작의 경계에서 행해지는 미역밭 경작 • 조간대 미역밭을 경작하기 위한 생업전략 • 결 론
12 가거도와 만재도의 갯밭공동체와 무레꾼 연구 |이유리| • 서 론 • 조사지역의 생업과 특성 • 갯밭에 대한 인지와 갯밭공동체의 운영 • 무레꾼의 특성과 활동양상 비교 • 결 론
13 <해녀노젓는소리> 가창기연의 소멸 시기 |이성훈| • 서 론 • 가창기연의 소멸 시기 • 결 론
14 <해녀노젓는소리>의 형성과 본토 전파 |이성훈| • 서 론 • <해녀노젓는소리>의 형성 • <해녀노젓는소리>의 본토 전파 • 결 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