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이 책은 종묘제례악이 처음 만들어진 원형을 찾고 그로부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되는 모든 모습들을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각 단계의 악곡들은 오선보로 역보하여 부록으로 말미에 붙였고, 그 중 일제강점기의 것으로 변하기 전인 18세기의 『대악후보』종묘제례악은 연주하여 음반으로 붙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의 종묘제례악이 앞으로 어떻게 다듬어져 나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그러나 그러기에 앞서 이미 사라져버린 종묘제례악 원형의 모습을 찾기 위해 원 악곡이 실려 있는 고악보 정간보를 해독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 부분은 종묘제례악의 원래 모습을 찾기 위한 기초적인 단계로서 이 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에 해당한다. 이 부분은 종묘제례악뿐만 아니라 고악보 정간보에 실려 있는 수많은 다른 악곡의 모습을 밝혀내는 데도 기초가 될 것이다. 정간보(井間譜)란 우물 정(井)자처럼 칸이 질러져 있고 그 가운데 음이 기록되어 있는 악보로서, 리듬과 음이 동시에 기보되는 악보를 말한다. 리듬은 우물 정(井)자처럼 되어 있는 칸에 의해 표시되는데, 이 칸을 ‘정간’이라고 부른다. 정간보에서 음은 음명(音名)으로 기보되어 있어서 누구든지 쉽게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정간보에서 정간으로 기보되어 있는 리듬은 아직까지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태평과 정대업의 원형을 찾고 그 변천과정을 살펴보기에 앞서 고악보 정간보에서 리듬을 기보한 방식과 그 해석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
제1부 고악보 정간보의 리듬해석
Ⅰ. 머리말
Ⅱ. 정간보 리듬해석에 대한 기존이론 1. 이혜구의 이론 1)‘이혜구 이론’으로 해석된 음악의 실제 2)‘이혜구 이론’의 근거: 현행 가곡
2. 황준연의 이론 3. 컨딧의 이론 4. 홍정수의 이론
Ⅲ. 고악보 정간보의 구조 및 종류와 그 음악 1. 고악보 정간보의 구조 2. 고악보 정간보의 종류 1) 8정간을 장고점 단위로 하는 악보 2) 5정간 또는 3정간을 장고점 단위로 하는 악보 3) 장고점 단위가 한 행 16정간인 악보 4) 장고점이 촘촘하게 나오는 악보 3. 고악보 정간보의 음악 1) 고악보 정간보에 실린 음악을 만든 동기 2) 고악보 정간보에 실린 향악과 고취악의 음악적인 내용
Ⅳ. 현행 전통음악의 장고장단과 리듬 1. 장고점과 기본박의 관계 1) 장고점 단위가 기본박 한 박인 경우 2) 장고점의 단위가 한 박이 아닌 경우
2. 기본박에 나타나는 음 1) 한 대강이 기본박이 되는 악보 2) 한 정간이 기본박이 되는 악보 3. 기본박과 소박 1) 우리 전통음악에 나타난 기본박과 소박 2) 중국 전통음악에서의 기본박과 소박
Ⅴ. 기본박 찾기를 통한 고악보 정간보 리듬해석
1. 8정간을 기본박으로 하는 악곡 2. 5정간 또는 3정간을 기본박으로 하는 악곡 3. 5정간 또는 3정간을 기본박으로 하는 것과 8정간을 기본박으로 하는 것이 연결되어 있는 악곡 4. 5정간과 3정간이 같은 길이가 되는 근거
Ⅵ. 맺음말
제2부 종묘제례악의 원형과 복원
Ⅰ. 머리말
Ⅱ. 종묘제례악의 원형
1. 희문류 악곡 1) 희문류 악곡의 리듬 2) 희문류 악곡의 원형
2. 기명류 악곡 1) 기명류 악곡의 리듬 2) 기명류 악곡의 원형
3. 귀인류 악곡 1) 귀인류 악곡의 리듬 2) 귀인류 악곡의 원형
4. 탁정류 악곡 1) 탁정류의 악곡의 리듬 2) 탁정류의 악곡의 원형
5. 종묘제례악의 악곡구성 1) 보태평과 정대업에 나타난 장단형의 음악적 성격 2) 종묘제례악의 악곡구성
Ⅲ. 종묘제례악의 변천
1. 18세기의 종묘제례악 1)『대악후보』종묘제례악 2)『속악원보』인편 종묘제례악
2. 19세기『악장요람』의 종묘제례악
3. 20세기의 종묘제례악 1)『속악원보』신편 종묘제례악 2)『이왕직아악보』종묘제례악
Ⅳ. 종묘제례악의 복원
1. 원형의 복원 1) 무엇을 원형으로 복원할 것인가? 2) 템포 3) 시김새
2. 변형의 복원 1) 희문류와 기명류 악곡 2) 귀인류 악곡 3) 탁정류 악곡 4) 현행의 악곡 중 가사 전달이 가능한 곡
Ⅴ.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악보】및【부록음반】
Ⅰ. 세종실록악보 종묘제례악
A. 정대업
B.『세종실록악보』보태평
Ⅱ. 세조실록악보 종묘제례악
A. 보태평
B. 세조실록악보』정대업
Ⅲ. 대악후보 종묘제례악
A. 보태평
B.『대악후보』정대업
Ⅳ. 19~21세기 종묘제례악 | |
문숙희(文淑姬) sukhiem@hotmail.com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 국악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학 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논문으로는“려말선초시가의음악형식연구.” (2004)가 있고, 그 외의 논문으로는 “가야금산조의 긴장과 이완.”(1986), “서부경남에 전승된 제주도 <해녀 노 젓는 소리>의 음악적 고찰.”(2005), “「세종실록악보」 여민락의 음악형식과 그 변천에 관한 고찰,”(2007), “현악여민락의 리듬 변천에 관한 연구,”(2008), “16세기 이전 보허자의 리듬 변천에 관한 연구,”(2008), “17세기 이후 현악보허자의 리듬 변천에 관한 연구,”(2008) 등 다수가 있다. 단행본에는 | |
|